10월 9일(월)은 571돌 한글날이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이며 ‘백성에게 가르칠 표준어’이다. 한글날은 이러한 한글의 창제와 반포를 기념하고 한글의 우수성과 공로를 기리는 날이다.

1926년에 음력 9월 29일로 지정된 ‘가갸날’이 그 시초이며 1928년 ‘한글날’로 개칭되었다. 광복 후 양력 10월 9일로 확정되고 2006년부터 국경일로 지정되었다. 『훈민정음(訓民正音)』에는 한글을 만든 사람과 만든 시기, 만든 원리 등이 기록되어 있다. 전 세계문자 가운데 창제에 관한 모든 기록이 책으로 남아 있는 것은 『훈민정음(訓民正音)』이 유일하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었고, 이것은 1997년 10월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으로도 등록되었다.

올해는 우리 문자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대왕 탄생 620주년이 되는 해이다. 문자를 몰라 생각을 전할 수 없는 백성들을 불쌍히 여긴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은 쉬우면서도 사용하는데 부족함이 없는 새 문자를 탄생시켰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세종대왕 25년 곧 서기 1443년에 완성하여 3년 동안의 시험 기간을 거쳐 세종 28년인 서기 1446년에 세상에 반포되었다. 한글은 자연발생적으로 생긴 것이 아니라 세종대왕이 주도하여 창의적으로 만든 문자로서 과학적이고 합리적이어 세계가 모두 인정하는 우수한 문자다. 이러한 한글창제로 우리는 문자가 없어서 남의 글자인 한자를 빌려다 사용하던 불편을 벗어버리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세계의 석학은 우리 문자인 한글의 간결함과 우수성 때문에 한국인의 문맹률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이유라고 말하면서 한글을 세계 언어의 최고라고 전했다.

▲ 훈민정음 해례본 : 이 책은 1962년 국보 70호로 지정되었고, 세종 임금의 명으로 정인지 등이 한글의 창제 원리와 사용법을 설명하고 예를 든 책.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현재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미국의 작가 펄벅은 “한글은 전 세계에서 가장 단순하면서도 가장 훌륭한 글자이다. 한글을 발명한 세종대왕은 천부적 재능의 깊이와 다양성에 있어서 한국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라고 할 수 있다.” 고 말했다.

독일의 언어철학자 홈 볼트는“언어구조와 그 민족성과의 밀접한 상관관계”를 지적한 바 있다.

독일어에는 게르만 민족의 의식구조가 들어있듯이 우리말에는 한국인의 정신과 얼이 융해되어있다. 우리가 내뱉는 일상의 언어 속에는 그 밑바닥에 한국인의 원형이 숨겨 있다는 사실이다.

잊혀가는 고유어, 셀 수 없이 쏟아져 나오는 신조어나 시사용어에 대한 앎도 중요하지만 국적불명의 말, 욕설이나 줄임말로 한글이 잘 못 쓰이는 경우가 많다. 물론 세계화 시대에 국가나 개인의 경쟁력을 높이고 외국어를 열심히 공부한다고 해서 우리말을 밀어내도록 방치해서는 안 된다.

연계 – 영계, 가드 레일 - 보호난간, 가든파티 – 마당잔치, 뜰 잔치. 골든 골 – 끝내기 골, 개런티 – 출연료. 뉴스레터 – 소식지, 회보. 노마진 – 원가 판매, 님비 – 지역이기주의, 그린 피 – 골프장 입장료, 드레스 룸 – 옷 방, 데이터 뱅크 – 정보은행, 에이매치 – 국가 간 경기, 이 메일 – 전자우편, 인터넷 커뮤니티 – 인터넷 동아리, 까페 – 카페, 르뽀 – 르포, 커피솦 – 커피숍, 이태리 – 이탈리아, 다운 코트 – 오리털 코트, 레깅스 – 양말바지, 언더셔츠 – 속셔츠, 속옷. 이브닝드레스 – 야회복, 뗑깡 – 생떼, 축제 – 잔치, 금주 – 이번 주, 견습 – 수습, 경관 – 경치, 나와바리 – 구역, 세대주 – 가구주, 사라 – 접시, 야끼만두 – 군만두 등 외래어와 일본식 한자가 일상생활에서 너무 많이 사용하고 있다.

우리말이 없어 어쩔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우리말로 고쳐 쓸 수 있는 국어 순화운동으로 우리 문자인 한글을 잘 보호하고 아름답게 사용해야하는 것은 우리의 책무이다.

한글은 모든 언어가 꿈꾸는 최고의 알파벳이다. 한글은 단순하고 효율적이며 한국인의 정신이 녹아있는 위대한 지적 유산 가운데 하나다. 우리글은 우리가 사랑하고 우리가 아름답게 사용해야한다.

‘국어사랑, 나라사랑’이란 구호가 낡았다고 생각한다면 광고의 문안처럼 ‘우리말은 소중한 것이여!’

저작권자 © 광교IT기자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