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빛태우기

정월대보름의 의의 및 유래

정월대보름 하면 떠오르는 옛 추억과 놀이들이 어릴 적 향수를 생각하게 한다. 보름 전날 밤 일찍 자면 눈썹이 하얗게 센다는 어른들의 말씀에 잠들면 눈썹이 세어질까 봐 잠못들다가 깜박 잠이 들어 버려서 아침에 일어나면 거울부터 쳐다보고 혼자 웃던 일. 그리고 "중태야~" 하고 다정히 부르는 친구들의 부름에 "응!" 하고 대답하면 "내 더위 사가라"하며 깔깔거리며 신나하던 더위팔기놀이, 깡통에 불을 지펴 돌리며 흥에 겨워 놀던 쥐불놀이 등이 주마등처럼 내 머리를 스치고 지나간다.

정월은 한 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서 사람과 신,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 삼자가 하나로 합일하고 한 해 동안 이루어야 할 일을 계획하고 기원하며 점쳐보는 달이다. 조선 후기에 간행된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대보름에도 섣달 그믐날의 수세하는 풍속과 같이 온 집안에 등불을 켜 놓고 밤을 새웠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대보름의 풍속은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고대사회로부터 풍농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고 하겠다. 특히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대보름은 음력을 사용하는 전통사회에 있어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정월대보름의 풍속

전통사회의 농가에서는 정월을 '노달기'라 하여, 농군들은 휴식을 취하는 한편 가마니 짜기·새끼 꼬기·퇴비 만들기·농기구의 제작 및 수리 등을 하며 농사 준비를 한다. 한편으로는 새해를 맞이하여 새로운 시간의 창조를 위한 신성의례와 건강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얻기 위한 다양한 제사의식과 놀이가 행해진다. 지방마다 차이가 있지만 농촌에서는, 마을공동제의로 대개 대보름날 자정을 전후로 하여 동제를 지낸다. 가가호호 성의껏 제비를 갹출하여 제비를 마련하고, 정결한 사람으로 제관 을 선출하여 풍요로운 생산과 마을의 평안을 축원하는 동제를 지내고 줄다리기, 지신밟기 등의 놀이가 이어진다.

대보름날에는 오곡밥을 먹으며, 귀밝이술을 마셔 액운을 떨쳐버리고, '부럼 깬다'하여 밤·호두·땅 콩 등을 깨물며 일 년 내내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도록 기원한다. 또 상대방 이름을 부르며 '내 더위 사가라'고 하며 더위를 팔기도 한다, 아이들은 연을 날려 보내 액막이를 한다, 주부들은 단골무당을 청하여 가신과 여러 잡신들을 풀어먹임으로써 가내의 평안을 기원하는데, 이를 안택이라고 한다.

달의 형체, 대소, 출렁거림, 높낮이 등으로 1년 농사를 점치는 달맞이 풍속. 보름 전날 짚을 묶어서 깃대 모양으로 만들고 그 안에 벼·기장·피·조의 이삭을 넣어 싸고, 목화도 장대 끝에 매달아 이를 집 곁에 세워 풍년을 기원하는 볏가릿대 세우기, 짚이나 솔가지 등을 쌓아놓고 보름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려 불을 지르는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와 같이 행해지는 횃불싸움, 쥐불놀이, 용알 뜨기는 대보름날 새벽에 제일 먼저 우물물을 길어와 풍년을 기원하며, 운수대통하기를 기원하는 풍속이다. 그 외에도 사자놀이, 관원놀음, 들놀음과 오광대 탈놀음, 석전, 고싸움, 쇠머리대기, 동채싸움 등이 있다, 대보름날엔 세 집 이상의 성이 다른 집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며, 평상시에는 하루 세 번 먹는 밥을 이 날은 아홉 번 먹어야 좋다고 해서 틈틈이 여러 번 먹는다. 또 복쌈이 있는데, 이는 밥을 김이나 취나물, 배춧잎 등에 싸서 먹는 풍속을 말한다.

저작권자 © 광교IT기자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